goosegoose.DRAM
article thumbnail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신경망1

https://illjuustory.tistory.com/56 퍼셉트론(Perceptron) 퍼셉트론(perceptron)은 1957년 프랑크 로젤블라트가 고안한 알고리즘이다. 이는 다음에 배울 신경망의 기초가 되니 잘 이해하고 넘어가야 한다. 1. 퍼셉트론이란? 퍼셉트론은 다수의 신호를 입력으 illjuustory.tistory.com 앞 장에서 배운 퍼셉트론은 장점과 단점이 나뉘었다. 장점은 퍼셉트론으로 복잡한 함수도 표현할 수 있다는 것. 그 예로 컴퓨터가 수행하는 복잡한 처리도 퍼셉트론으로(이론상) 표현할 수 있음을 알아봤다. 단점은 가중치를 설정하는 작업(원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가중치 값을 적절히 정하는 작업)은 여전히 사람이 수동으로 한다는 것이다. 앞 장에서는 AND, NAND,OR 게이트..

article thumbnail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퍼셉트론(Perceptron)

퍼셉트론(perceptron)은 1957년 프랑크 로젤블라트가 고안한 알고리즘이다. 이는 다음에 배울 신경망의 기초가 되니 잘 이해하고 넘어가야 한다. 1. 퍼셉트론이란? 퍼셉트론은 다수의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정해진 규칙에 따른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말하는 신호는 전류나 강물처럼 흐름이 있는 것을 상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 전류가 전선을 타고 흐르는 전자를 내보내듯 퍼셉트론 신호도 흐름을 만들고 정보를 앞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실제 전류와 달리 퍼셉트론 신호는 흐른다/ 안 흐르다(1 or 0)의 두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1== 신호가 흐름 0 == 신호가 흐르지 않음 x1, x2는 입력신호, y는 출력신호, w1, w2는 가중치(weight)를 뜻하며 동그란 원은 뉴런 혹은 노드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