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Protocol Suite ( TCP/IP 프로토콜 집합)
TCP/IP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집합이다. 각각의 모듈이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며 상호작용하는 계층적인 프로토콜이며 각 모듈은 특정한 기능을 제공한다. (계층적인 : 상위 프로토콜이 하나 이상의 하위 레벨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서비스로 지원된다는 것을 의미)
네트워크 통신의 대표 격인 인터넷 통신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이란 TCP/IP 기반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의 연결을 의미한다. 아래 그림의 왼쪽 계층은 초창기 TCP/IP 프로토콜로 당시엔 하드웨어에 설치된 4가지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분류했지만 오늘날에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5계층으로 변경되었다.
계층적인 연결구조
장치 설명
Hub (허브) : 1단계 물리층 자비로 한 포트로 신호가 들어오면 모든 포트로 전송한다.
Bridge (브릿지) : 2단계 장비로 랜카드 주소(MAC)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내려는 포트만 전송가능하다.
Switch (스위치) : 2단계 장비로 하드웨어방식에 브릿지보다 빠르고 많은 포트를 지원한다.
Router (라우터) : 위의 요소들로 구성한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3단계 장비이기에 IP주소를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한다. (ex . 공유기 )
LAN의 개수 - 3개 (Briidge의 개수, 내부 네트워크를 의미)
네트워크의 개수 - 1개 (Router의 개수, 외부에서 보이는 네트워크를 의미)
위 사진은 TCP/IP 프로토콜 계층들이 어떻게 통신에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그림이다.
각각의 Layer들은 end-to-end(Application, Transport, Network: 중간에 끊김 없이 끝(source)과 끝(destination)으로 연결), hop(라우터, host)-to-hop(Data link, Physical : 중간의 라우터에서 끊겼다가 다시 라우터에서 생성된 것이 끝으로 감)으로 구분된다. 즉, 최상위 3개의 계층은 인터넷의 영역이고, 하위 2계층은 링크의 영역이다.
각 계층의 역할
Protocol Layering 2원칙
1. 양방향 통신은 각 계층이 상반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말하기 , 듣기)
2. 각 계층에서 통신되는 객체의 형식은 반드시 동일해야한다. ( 평서문, 암호문)
Physical Layer (물리층) |
프레임의 각 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물리적인 전송매체(케이블)로 송신, 수신한다. |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층) |
상위층으로부터 데이터그램을 받아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링크는 유선 LAN, 무선 LAN, 유선 WAN, 무선 WAN을 의미하며 각 링크 유형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그램을 캡슐화하여 프레임이라는 패킷으로 만든다.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송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복원한다. |
Network Layer (네트워크층) |
이 계층에서 이뤄지는 통신은 호스트 간의 통신으로 송신 컴퓨터(발신지)와 수신 컴퓨터(목적지) 간의 연결을 담당한다.(이때 헤더에 목적지, 발신지 정보를 붙임) Transport Layer에서 전달받은 데이터의 패킷을 생성하여 다른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달한다. 이때, 패킷의 목적지 호스트를 파악하고 라우터는 각 패킷을 최적의 경로로 선택하여 전달한다. |
Transport Layer (전송층) |
Application Layer로부터 메세지를 받아 데이터그램 혹은 세그먼트로 캡슐화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논리적인 연결(end to end)을 만들어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끝단 통신을 지원하며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전송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에러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 데이터 전송 중 손실이나 손상된 패킷을 감지하고, 재전송을 요청함으로써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
Application Layer (응용층) |
응용층은 통신망으로 연결된 응용 프로세스들의 정보교환이 이뤄지는 계층으로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HTTP가 있다. 응용층 간에 message를 교환하며 캡슐화 기능을 해제한다. end - to - end |
https://gusdnd852.tistory.com/92
네트워크 모델 (3) - TCP/IP 프로토콜 훑어보기 (2)
1. Physical Layer (물리층) 물리층은 최하위 계층으로 장치간의 물리적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 물리층에서는 데이터 부호화 방식, 신호방식, 데이터 충돌 감지 등을 정의. 한
gusdnd852.tistory.com
여기 블로그가 참고하기 좋다.
'학교 공부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아날로그와 디지털, 대역폭 (0) | 2023.04.17 |
---|---|
[데이터 통신] 캡슐화와 역캡슐화, 주소 지정, 다중화와 역다중화, OSI 모델, OSI vs. TCP/IP (1) | 2023.04.16 |
[데이터 통신] Protocol Layering ( 프로토콜 계층화) (0) | 2023.04.16 |
[데이터 통신] Internet (0) | 2023.04.16 |
[데이터 통신] circuit-switched network, packet-switched network (1) | 2023.04.16 |